ㅡ이에요/ㅡ예요

★…… 2015. 5. 9. 00:23

 

 

간단하게,

 

 

앞말에 받침이 있을 때.

ㅡ이에요.

ㅡ이어요.

 

앞말에 받침이 없을 때.

ㅡ예요.

 

 

예를 들어서~~

<트럭>은 받침 ㄱ이 있으니까.

이에요.

이어요.

 

<토마토>는 받침이 없으니까.

토마예요.

 

 

그렇다면,

 

1) 그거 사실 거에요?

2) 그거 사실 거예요?

 

어떤 게 맞는 걸까?

 

답은 2번. '거'에 받침이 없으니, 예요가 맞는.

 

 

하나 더.

그렇다면,

 

1) 그 녀석, 정말 개구쟁이에요.

2) 그 녀석, 정말 개구쟁이예요.

 

어떤 게 맞는 걸까?

 

이번에도 정답은 2번!!

 

개구쟁 + 이에요 (x)

개구쟁이 + 예요 (o)

 

 

하나만 더.

그렇다면,

 

1) 아뇨. 아니에요.

2) 아뇨. 아니예요.

 

이번엔 답이 뭘까? 1번? 2번?

받침이 없으니까, 언뜻 '아니예요'가 맞을 것 같지만, 이 경우에는 다름.

 

아니에요. 아니어요.

 

가 옳은. 이건 걍 예외 정도로 외우는 게 나은.

 

아녜요.

 

도 있다능!!

 

간단하게, 받침이 있으면 서비스로 길게 빼주고(이에요. 이여요)

받침이 없으면, 없는 김에 겸사겸사 짧게 쓰고(예요)

: